티스토리 뷰

제1장 금융경제 일반 1.국민경제의 순환과 금융의 역활 

 

1-1 국민경제의 순환과 금융의 연결

 

1-1-1. 경제주체

경제활동을 하는 경제주체는 가계, 기업, 정부, 해외로 분류할 수 있다.

가계: 소비,저축

기업: 이윤

정부:세금

해외: 수출입 

 

1-1-2 생산

기업은 생산을 위해 생산요소를 투입한다. 

인적요소: 노동

물적요소: 토지,자본

생산요소의 특징은 소멸되지 않고 생산과정에서 재투입 될 수 있다는 점에서(비소멸성),원재료나 중간재와는 다르다. 

노동, 토지 = 본원적 생산요소 

자본 = 생산된 생산요소

 

1-1-3 지출

가계: 소비주출, 기업: 투자지출, 정부: 재정지출, 해외: 수출

 

1-1-4 분배

생산물이 판매(소비)되어야 생산자에게 소득이 발생하고 그 발생된 소득을 각 경제주체에게 분배할 수 있는 것

 

1-1-5. 순환과정

생산요소의 투입과 산출(생산단계), 생산물의 소비(소비단계), 소득의 분배측면(분배단계)

생산에서 분배, 분배에서 지출, 지출에서 다시 생산으로 이어지며 순환하게 된다.

경제주체들 간의 상호 유기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 각 단계(생산, 소비, 분배)별 총액은 모두 동일하다. 

국민소득3면 등가의법칙: 1년간의 국민총생산량(생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이와같이 국민경제의 순환은 일정한 시간의 흐름상에서 나타나는 유동적인 경제활동을 의미하므로 플로우(flow)개념이지 대차대조표와 같이 축적된 양을 나타내는 스톡(stock)의 개념은 아니다. 

 

1-1-6 국민경제와 금융의 연결

금융이란 자금이 부족하거나 여유가 있는 사람과 금융회사간에 돈을 융통하는 행위

금융회사는 금융의 중개기능을 수행

 

 

1-2 금융의 역할

금융은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한다.

금융시장에서는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를 이어주는 매개수단인 금융상품을 통해 필요한 거래가 일어난다. 

 

1-2-1 개인 간 자금거래 중개

금융은 여윳돈이 있는 사람들의 돈을 모아서 돈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이전해주는 자금의 중개기능을 수횅한다. 

 

1-2-2 거래비용의 절감

돈을 가진 사람과 돈이 필요한 사람이 서로를 직접 찾아 나선다면 엄청난 탐색비용이 든다. 

금용회사에 요청하면 금융회사가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주므로 비용과 시간 등 거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1-2-3 가계에 대한 자산관리수단 제공

금융은 지출에 비해 소득이 많을 때에는 돈을 운용할 기회를 마련해 주고, 지출이 많을 때에는 돈을 빌려주는 등 개인들의 자금사정에 따른 자산관리 수단을 제공해ㅐ 준다.

 

1-2-4 자금의 효율적인 배분

금융은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에게는 투자의 수단을 제공하고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자금을 공급해준다.

 

1-2-5 금융위험 관리수단 제공

금융경제 분야에서 위험(risk)은 경제현상이나 투자결과 등이 기대와 달라지는 정도를 말하며 불확실성 또는 변동성이라고도 한다. 개인이 여윳돈을 금융회사에 예금하고 그 돈을 빌린 사람이 부도가 나더라도 그 부담을 금융회사가 지게 되므로 예금을 떼일 위험이 줄어든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