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2장 저축과 금융투자에 대한 이해 2.투자의 기초

 

2-1 투자 vs 투기

투자는 미래에 긍정적인 이익이 발생하기를 바라면서 불확실성을 무릅쓰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산을 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투기는 과도한 이익을 추구하면서 비합리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경우이다. 

 

2-2 수익 vs 투자수익률

투자에서 수익이란 투자한 양과 회수되거나 회수될 양과의 차이를 말한다. 

투자수익률은 투자량과 회수량과의 비율을 나타낸다. 

투자수익률 = (기말의 투자가치 - 투자원금) ÷ 투자원금 × 100

기말의 투자가치는 투자기간 중 발생하는 이자금액이나, 배당금, 재투자 등이 포함된 개념이다. 예를 들어 3개월 전에 10,000원에 매입한 주식을 오늘 10,900원에 매도하고 이 주식을 보유하는 기간동안 200원의 배당금을 받았다면 3개월 동안의 투자수익률은 ((10,900 + 200) - 10,000) ÷10,000 × 100 = 11%가 된다.

 

2-2-1 수익률 계산시 고려사항

거래비용을 제외한 나머지가 실질적인 투자수익이 되므로 거래횟수가 잦을수록 비용 대비 수익이 낮아지게 되어 장기투자가 유리하게 된다. 세전 수익률과 세후 수익률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투자에 수반되는 기회비용이나 정보비용을 줄이기 위해 직접투자 대신에 펀드, 위탁매매와 같은 간접투자를 이용하기도 한다. 

 

2-3 투자의 위험(risk)

위험(risk)이 금융분야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 노출된 상태로서 경우에 따라 많은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손실을 볼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2-3-1 투자수익률과 리스크의 관계

리스크가 크다는 것은 투자 결과의 변동 폭이 크다는 의미이다. 

리스크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의 수익률은 무위험수익률

리스크에 대한 보상으로 증가하는 기대수익률을 리스크 프리미엄

기대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리스크프리미엄

 

2-3-2 투자위험 관리와 분산투자

투자위험을 관리하는 방법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자산배분을 통한 분산투자이다. 

분산투자를 통해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은 분산가능 위험 또는 비체계적 위험이라 하고 분산투자로도 그 크기를 줄일 수 없는 부분은 분산불가능 위험 또는 체계적 위험이라고 한다. 

비체계적 위험: 경영자의 횡령, 산업재해, 근로자의 파업 등 특정 기업이나 산업의 가치에만 고유하게 미치는 위험

체계적 위험: 세계 경제위기나 천재지변, 전쟁 등과 같이 모든 자산이나 투자 대상의 가치에 영향

 

2-3-3 레버리지 효과와 투자위험

금융에서는 실제의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 레버리지 = 총 투자액 / 자기자본

 

 

2-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자본시장을 규제하는 기본법인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는 금융투자상품의 개념에 대한 포괄적인 규정, 금융업에 관한 제도적 틀을 금융기능 중심으로 재편, 투자자보호제도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2-4-1 금융투자상품

금융상품은 금융투자상품과 비금융투자상품으로 구분된다. 원본의 소실가능성 없는 상품을 비금융투자상품이라고 하며 은행의 예금이 대표적이다. 반면 금융투자상품은 원본의 손실 가능성(이를 '투자성'이라 한다)이 있는 금융상품을 의미한다. 

 

2-4-2 표준투자권유준칙

표준투자권유준칙은 금융투자상품의 판매자인 금융회사와 소속 직원들의 입장에서 꼭 지켜야 할 기준과 절차이며, 금융투자상품의 구매자인 투자자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 

 

2-4-3 투자자보호제도

금융투자회사가 투자자에게 금융투자상품을 권유할 경우 상품의 내용과 위험을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의무제도를 도입하였고 이를 이행하지 않는 불완전판매에 대해서는 금융투자회사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부과하였다. 

-신의성실의무

-투자자의 구분

- 고객알기제도

-적합성원칙

-적정성원칙

-설명의무

-부당권유 규제

-약관 규제

-광고 규제

 

댓글